2017년12월16일 14번
[과목 구분 없음] (주)한국은 내부관리 목적으로 표준원가계산시스템을 채택하고 있고, 표준노무시간은 제품단위당 5시간이다. 제품의 실제생산량은 2,100단위이고 고정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은 ₩900,000이다. 이 회사는 고정제조간접원가를 노무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하며 기준조업도는 10,000노무시간이다.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차이가 ₩100,000 유리하다면 조업도차이는?
- ① ₩40,000 불리
- ② ₩40,000 유리
- ③ ₩50,000 불리
- ④ ₩50,000 유리
(정답률: 알수없음)
문제 해설
고정제조간접원가를 노무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하며 기준조업도는 10,000노무시간이므로, 실제 사용된 노무시간은 2,100단위 x 5시간/단위 = 10,500시간입니다. 따라서 실제 발생한 고정제조간접원가를 실제 사용된 노무시간으로 나눈 값은 ₩800,000 ÷ 10,500시간 = ₩76.19/시간입니다.
기준조업도는 10,000노무시간이므로, 기준조업도당 배분되는 고정제조간접원가는 10,000시간 x ₩76.19/시간 = ₩761,900입니다. 따라서 실제 사용된 노무시간에 대한 고정제조간접원가는 10,500시간 x ₩76.19/시간 = ₩800,190입니다.
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차이가 ₩100,000 유리하다면, 실제 사용된 노무시간에 대한 고정제조간접원가는 예산보다 ₩100,000 적게 발생했으므로 ₩800,190 - ₩100,000 = ₩700,190입니다. 이를 기준조업도로 나눈 값은 ₩700,190 ÷ 10,000시간 = ₩70.02/시간입니다.
따라서 기준조업도당 배분되는 고정제조간접원가는 10,000시간 x ₩70.02/시간 = ₩700,200입니다. 이를 실제 사용된 노무시간으로 나눈 값은 10,500시간 x ₩70.02/시간 = ₩735,210입니다.
실제 사용된 노무시간에 대한 고정제조간접원가는 ₩800,190이고, 기준조업도당 배분되는 고정제조간접원가는 ₩700,200이므로 조업도차이는 ₩800,190 - ₩700,200 = ₩99,990입니다. 이 값은 ₩50,000 불리이므로 정답은 "₩50,000 유리"입니다.